정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
‘한국선도’는 한국사의 출발점에서 시작된 고유의 사유체계로서 수련법에 기반하고 있으며 상고 이래 줄곧 한국사상의 원류로서 기능하여 왔다. 삼국 이래 중국에서 도입된 三敎(道敎·佛敎·儒敎)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한국선도는 점차 퇴조, 불교와 습합되는 면모를 보였다. 선·불 사상을 시대이념으로 하였던 고려를 지나 조선에 이르러 선도와 극히 대척적인 유교성리학이 국가이념으로 정착되자 선도는 이단시되었고 민속·무속의 차원으로 저락되었다.
조선말 유교성리학 이념이 時宜性을 상실하게 되자 기존에 성리학에 의해 이단으로 억압받아온 사상들이 다시 양성화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사상적 혼란기를 맞이하여 특히 한국인들에게 가장 크게 다가갔던 사상은 선도였다. 선도는 한국인들 스스로 자각하든 자각하지 못하든 의식의 심층부에 자리하고 있었고, 사상적 혼란기에는 의식의 중심자리에 있던 것이 터져나오기 마련이었다. 이즈음 선도는 東學, 正易, 甑山道, 大倧敎, 檀君敎 등 대체로 민족종교의 형태로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에서도 특히 대종교 계열이 선도의 원형에 가장 충실하였다. 대종교는 한국인들에게 잠재되어 있던 선도 성향을 자극하였고, 1910․20년대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는데, 특히 극성기인 1920년대에는 전국적으로 20만~30만의 대종교도를 거느릴 정도로 일대 선도의 열풍을 불러 일으켰다.
한국 근대시기 어렵게 발아한 선도는 선도의 민족적 성향을 경계한 일제에 의해 저지된다. 일제의 선도 탄압은 대종교 박해와 같은 직접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였지만 ‘식민사관’을 통한 간접적이고 지능적인 방식으로도 이루어졌다. 식민사관의 관건인 단군 말살은 단군 인식의 기반이 되는 선도의 말살에 다름아니었다. 뿐아니라 일본을 통해 새롭게 도입된 서구사상·문화의 위상이 차츰 높아져가게 되었다. 1930·40년대 일제 식민통치의 진전은 일제를 매개로 한 서구화의 진전에 다름아니었고 이 과정에서 선도는 점차 약화되어갔다.
1945년 광복이 되자 그간 일제의 탄압과 서구사상·문화의 우세 속에서 입지가 좁아져 있던 선도가 재기의 움직임을 보이게 되었고 한국선도는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엿보게 되었다. 연구자는 광복 이후 선도의 변화 양상 중에서도 특히 1970년대말․1980년대초 이후의 변화에 주목해보는 입장이다. 이즈음 수많은 선도수련단체들이 등장하면서 선도수련법이 널리 보급, 선도가 대중화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2000년대 이후부터는 세계화하는 면모까지 나타났던 때문이다. 1910·20년대 한국선도가 대종교를 중심으로 일시 부흥하였다가 사그러든 이래 가장 큰 약진을 보인 시기이기도 했지만, 특히 1970년대말까지 한국선도가 민속·무속 정도로 인식되던 상황에서는 상상하기조차 힘든 세계화 현상이 나타났던 시기였기에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었고, 이에 연구자는 1970년대말․1980년대초 이후 당시 선도의 성장세를 추동했던 ‘丹學’ 계열을 중심으로 선도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 바 있다.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10여년이 지나면서 선도는 많은 변화상을 보였는데 그 중심에 ‘단학’ 계열이 자리하고 있었던 점에는 변함이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앞서의 연구에다 이후 10여년의 변화상을 추가, 1970년대말․1980년대초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선도의 전개 양상을 새롭게 분석하는 연구를 하게 되었다. 특히 이 10여년간 선도사상이나 선도사 등 한국선도 방면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대폭 수용함으로써 이시기 선도의 전개상을 보다 깊이있게 천착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이시기 선도수련법이 대중화하는 양상을 살펴보려 한다. 또한 선도수련법이 대중화할 수 있었던 가장 본질적인 요인으로 한국선도의 현대화라는 요인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 그 현대화 양상의 첫 번째 요소로 선도 기학이 현대화한 면모를 살펴볼 것이며 제4장에서는 그 두 번째 요소로 선도 수련법이 현대화한 면모를 살펴볼 것이다. 제5장에서는 선도의 현대화가 가능하였기에 더 나아가 세계화에도 성공할 수 있었다고 보고 세계화의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선도가 현대화하며 또 세계화하는 추세 속에서도 한국선도의 원형이 지켜갔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불선(유교, 불교, 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선도 氣學의 현대화 (0) | 2015.11.24 |
---|---|
한국선도 수련의 대중화 (0) | 2015.11.24 |
한국인은 '등산 유전자'를 타고났다. (0) | 2015.11.16 |
삼신(三神)과 선가(仙家)사상 (0) | 2015.11.05 |
홍만종의 해동이적 - 우리나라 신선 계보 (0) | 201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