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말․1980년대 이후 등장한 선도수련단체들은 대체로 국내에서 기반을 확보한 후 해외로 진출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단학은 규모나 운영 면에서 이러한 분위기를 주도해오고 있다. 단학(국외용 호칭은 ‘단요가Dahn Yoga’)의 해외 진출은 1991년 미국 필라델피아 지역에서 비롯되었는데, 1993년 일지선사가 직접 미국 개척에 나서면서부터 본격화되었으며 1997년·1998년 무렵 미국사회내 뇌호흡수련법의 보급을 계기로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뇌교육은 국내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지만, 서구사회에서 더 환영받은 측면이 있다. 이성적인 서구인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단전’, ‘마음’이라는 개념 보다 눈에 보이는 ‘뇌’를 가지고 접근해 가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었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국의 초·중·고등학교에 뇌호흡수련이 도입되고 대학이나 연구소 등에서 빈번하게 뇌교육 관련 강연회 및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던 뇌교육은 2008년 무렵부터는 유엔에서의 활동을 통해 전세계에 주목을 받음으로써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2004년 뇌교육의 세계화를 위해 설립된 ‘국제뇌교육협회(IBREA)’는 2008년 유엔본부에서 뇌과학자, 교육학자, 유엔대사 등 세계 10개국의 5백여명과 함께 미래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뇌교육을 세계 교육계에 제시하는 ‘국제뇌교육컨퍼런스’를 개최, 큰 주목을 받았다. 이어 2011년에는 중남미 엘살바도로에 ‘뇌교육 시범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는데, 이 성공사례가 유엔본부 총회에서 발표됨으로써 뇌교육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크게 높아졌고 그 선상에서 2012년 유엔본부에서 ‘뇌교육 국제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한국정부에서도 뇌교육을 ‘글로벌교육지원사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엘살바도르에 이어 아프리카 라이베리아에서 ‘뇌교육 시범 프로젝트’가 도입되었고 독일 뒤셀도르프지역의 13개 학교에서도 뇌교육이 도입되었다. 뇌교육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워싱턴 D.C, 뉴욕 등 미국내 20여개 도시가 뇌교육의 날을 지정하였다. 2012년에는 미국 산타페시가 뇌교육도시로 지정되었고, 미국 하와이주에서는 국제뇌교육협회의 날이 선포되기도 했다.
이처럼 선도는 뇌교육을 통해 세계화의 기반을 다지게 되었는데 2010년대부터는 한국선도가 새롭게 생명전자수련법으로 경신되면서 뇌교육과 함께 생명전자수련법이 선도 세계화의 또 다른 매개가 되었다. 특히 생명전자수련법은 단순한 수련법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이를 통한 개인·국가·인류의 변화를 촉구하는 방향으로 진전되었다. 곧 생명전자수련법이 제시됨과 동시에 이 수련법을 통해 개인·국가·인류의 변화를 촉구하는 내용의『세도나 스토리』(2011년),『변화Change』(2013년)가 나왔다. 이중에서도 특히『변화』는 ‘체인지, 생명전자의 효과’라는 다큐멘터리 영상물로도 제작되었는데 다큐멘터리 영상물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생명전자 수련법을 통해 개인·국가는 물론 인류문명이 상극·대립에서 상생·조화로 대전환을 이루어가야 한다는 주장을 담았다. 생명전자수련법 및 이를 통한 인류문화의 대전환 메시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새롭게 온라인을 활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던 점도 주목할 만한 변화였다. 2012년 멘탈헬스방송 www.mhtv.kr(생명전자방송국www.lifeparticletv.kr을 거쳐 현재 힐링명상체인지TV방송국www.changetv.kr로 개칭)이 그러하다. 온라인은 효과적인 선도수련법의 보급을 위한 좋은 매개였다.
이상에서 2000년대 이후 선도수련법이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보급되며, 2000년대말부터는 유엔을 통해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선도의 전통에 의하면, 선도수련법의 보급은 단순한 수련법 보급의 차원을 넘어서는 의미, 곧 한국선도의 대사회적 실천을 위한 기반 조성의 의미를 지닌다.
선도 기학에 의하면 모든 존재의 본질은 ‘일기·삼기’의 생명력이기에 현상적 존재 양태는 서로 다르지만 본질적으로는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하므로 선도는 개인의 생명력 회복 뿐아니라 전체 인류의 생명력 회복까지 도모하며 더 나아가서는 세상 만물과의 조화로운 공존을 지향한다. 이것이 개인의 생명력 회복을(性通) 전체 인류 차원으로 확대하는(功完) 성통·공완사상이요, 홍익인간·재세이화 사상이다. 개인의 생명력 회복에 머무르지 않고 전체 인류의 생명력 회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조건이 되는 일부에게만 선도수련법을 보급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전세계적인 차원의 선도수련법의 보급이 필요해진다.
선도수련법이 널리 보급된다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쉽게 자신속의 생명력을 자각해 갈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와 환경이 바뀐다는 의미이다. 모든 사람이 손쉽게 자신속의 생명력을 찾아갈 수 있도록 배려된 사회 분위기와 환경, 그것도 전세계적인 차원의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로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 실천운동 운동의 진정한 의미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선도수련법의 보급, 그것도 전세계적 차원의 선도수련법 보급이 곧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 실천운동의 기반이 됨을 알게 된다.
이러하므로 1980년·1990년대 국내에서의 선도수련법 보급, 또 1990년대 미국사회에서의 선도수련법 보급을 통해 선도가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세계화되기 시작하던 2000년 무렵에 이르러 국제적 규모의 선도 실천운동이 시작될 수 있었다. 우선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 실천운동은 전세계인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개념으로 번안될 필요가 있었기에 ‘지구인운동’으로 명명되었다. ‘지구인운동’의 등장은 선도수련법 보급에 기반하여(성통)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적 본령이 본격되기 시작한(공완) 시금석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즈음 우선 지구인운동을 위한 이론서로서『힐링소사이어티』·『힐링소사이어티를 위한 12가지 통찰』(2000년) 및『숨쉬는 평화학』(2002년)이 나왔다. 『힐링소사이어티』·『힐링소사이어티를 위한 12가지 통찰』은 ‘지구인운동’의 필요성을 세계인들에게 호소한 책이며『숨쉬는 평화학』은 지구인운동의 구체적인 철학과 방법론을 제시한 책자이다. 특히『숨쉬는 평화학』에는 한국선도의 기본철학(삼원론), 방법론, 목표에 기초하여 2001년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구상된 지구인운동의 구체적인 청사진이 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선도수련법의 보급을 통해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 정신을 실천하는 ‘1억명의 지구인 연대’를 형성하는 것이 지구인운동의 구체적 목표로 제시되었다.
선도 실천운동으로서의 ‘지구인운동’은 기존의 지구평화운동에 비해 평화에 도달하기 위한 철학, 수련법, 조직, 계획 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훨씬 선명하고 구체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국 상고․고대사에서 ‘성통․공완론’이나 ‘홍익인간·재세이화’론은 단지 공허한 수사가 아니라 구체적인 정치․사회 운영론 및 운영방식과 관련된 용어였는데 이러한 선도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지구인운동을 바라보게 된다.
이렇게 2000년대에 들어 한국선도의 실천운동이 본격화되면서 한국선도는 ‘평화학’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또 ‘홍익인간·재세이화’는 ‘힐링소사이어티운동’, ‘지구인운동’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지구인운동과 평화학, 또 그 구체적 실현 방법으로서의 뇌교육학, 또 그 기반 학문으로서의 국학(한국선도)의 이론적 정립과 인재 양성을 위해 2003년에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2007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로 개칭), 2010년에는 글로벌사이버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실제적인 지구인운동은 2001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인 ‘제1회 휴머니티컨퍼런스’(지구인 선언대회)에서 비롯되었는데 여기에서 ‘지구인의 날(6월 15일)’및 ‘지구인 선언문’이 채택되었다. 이어 지구인운동을 지원할 민간조직으로 2002년 ‘세계지구인연합회(WEHA)’, 2003년 ‘세계지구인평화운동연합(WEHAP)’, 2004년 세계지구인평화운동연합의 국제청년조직인 ‘세계지구인청년연합회’(YEHA, 지구인청년단)가 조직되었다. 2006년에는 ‘지구시민운동연합’이 결성되었고 이후 이 조직을 중심으로 ‘지구인운동’이 ‘지구시민운동’의 이름으로 전개되어오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선도는 수련법의 현대화라는 성과에 기반하여 2000년대 무렵부터 미국사회를 중심으로 세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뇌교육은 뇌과학을 선도해가고 있던 서구사회에서 뇌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크게 주목되었고 2000년대말 무렵부터는 유엔에서의 활동을 통해 보급의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2010년대부터는 새롭게 등장한 생명전자수련법이 뇌교육과 함께 선도 세계화의 매개가 되었다. 선도수련법의 세계적 보급은 ‘홍익인간․재세이화’라는 선도 실천운동을 위한 기반이 되었고 이에 2000년대초 ‘지구인운동’의 이름으로 선도 실천운동이 시작될 수 있었다. 선도 실천운동으로서의 ‘지구인운동’은 기존의 지구평화운동에 비해 평화에 도달하기 위한 철학, 수련법, 조직, 계획 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훨씬 선명하고 구체적인 모습을 보였다. 지구인운동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1억 지구인 연대’의 결성을 1차 목표로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유불선(유교, 불교, 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가활동가 부부 윤남진·한주영 씨“그대는 如如한 내 삶이자 스승”… 불교시민사회 운동 同業 (0) | 2016.05.23 |
---|---|
현대화·세계화속의 한국선도 원형 (0) | 2015.11.24 |
한국선도 수련법의 현대화 (0) | 2015.11.24 |
한국선도 氣學의 현대화 (0) | 2015.11.24 |
한국선도 수련의 대중화 (0) | 2015.11.24 |